1기 신도시 선도지구 발표 지역별 아파트 단지명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발표, 3.6만 가구 선정
국토교통부는 27일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로 13개 구역 3만5897가구를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당초 제시한 선도지구 물량인 2만6000~3만9000가구의 상한선에 근접한 규모다. 1991년 첫 입주를 시작한 1기 신도시가 33년 만에 본격적인 재건축에 돌입하게 된 것이다.선도지구로 선정된 단지들은 2025년 특별정비계획 수립, 2026년 시행계획 및 관리처분계획 수립 등의 절차를 거쳐 2027년 착공, 2030년 입주를 목표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는 선도지구의 신속한 사업 진행을 위해 행정 및 금융 지원을 집중할 방침이다.
지역별 선정 아파트 단지 현황
-분당
분당에서는 3개 구역 총 1만948가구가 선도지구로 선정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샛별마을(동성, 라이프, 우방, 삼부, 현대빌라) - 2843가구
- 양지마을(금호1, 청구2, 금호한양3·5, 한양5·6, 금호청구6) - 4392가구
- 시범단지(우성, 현대, 장안건영3) - 3713가구
또한, 연립주택인 목련마을 빌라 단지 1107가구가 별도 정비물량으로 선정되어 선도지구에 준하는 수준의 지원을 받게 된다. 이를 포함하면 분당의 총 선정 물량은 1만2055가구에 달한다.
-일산
일산에서는 3개 구역 8912가구가 선도지구로 선정되었다:
- 백송마을(1, 2, 3, 5단지) - 2732가구
- 후곡마을(3, 4, 10, 15단지) - 2564가구
- 강촌마을(3, 5, 7, 8단지) - 3616가구
연립주택인 정발마을 2·3단지 262가구도 별도 정비물량으로 포함되어, 일산의 총 선정 물량은 9174가구다.
-평촌
평촌에서는 3개 구역 5460가구가 선도지구로 선정되었다:
- 꿈마을(금호, 한신, 라이프, 현대) - 1750가구
- 샘마을(임광, 우방, 쌍용, 대우, 한양) - 2334가구
- 꿈마을(우성, 건영5, 동아, 건영3) - 1376가구
-중동
중동에서는 2개 구역 5957가구가 선도지구로 선정되었다:
- 반달마을A(삼익, 동아, 선경, 건영) - 3570가구
- 은하마을(대우동부, 효성쌍용, 주공1·2) - 2387가구
-산본
산본에서는 2개 구역 4620가구가 선도지구로 선정되었다:
- 자이백합, 삼성장미, 산본주공11 - 2758가구
- 한양백두, 동성백두, 극동백두 - 1862가구
선도지구 선정 과정과 의미
이번 선도지구 선정에는 총 15만3000가구가 신청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특히 분당의 경우 주민동의율 95%를 넘긴 만점 구역이 10곳이 넘을 정도로 재건축에 대한 주민들의 열망이 높았다.선정 과정에서는 주민 동의율뿐만 아니라 공공기여, 주차대수 확보, 참여 가구 수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되었다. 분당의 경우 공공기여 5% 이상 시 6점을 부여하는 등 추가 점수 항목들이 당락을 가르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2025년 부동산 투자 전망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선정은 향후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은 선도지구들의 특별정비계획이 수립되는 해로, 부동산 시장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 영향: 전셋값 상승 우려
2026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대규모 이주 수요로 인해 수도권 전셋값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도지구 인근 지역의 전세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아, 투자자들은 이 지역의 전세 시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장기적 전망: 수급 안정화 기대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되면 2030년경부터는 대규모 신규 아파트 공급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는 중장기적으로 수도권 주택 시장의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변화를 주시해야 할 것이다.
지역별 투자 전망
- 분당: 가장 많은 물량이 선정된 만큼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분당 중앙공원 인근 단지들의 가치 상승이 예상된다.
- 일산: 교통 인프라 개선과 맞물려 투자 매력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평촌: 인덕원-동탄선 개통 예정과 맞물려 교통 호재가 있는 지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중동: 높은 용적률(350%)로 사업성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
- 산본: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으로, 재건축을 통한 가치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투자 시 고려사항
- 분담금 리스크: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높은 분담금은 사업 지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각 단지의 예상 분담금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 정부 정책 변화: 재건축 관련 정책은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책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 광역 교통망 개선: 정부의 광역 교통 개선 계획과 연계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 미래도시펀드: 정부가 조성 예정인 12조원 규모의 미래도시펀드를 활용한 투자 기회도 고려해볼 만하다.
결론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선정은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은 본격적인 재건축 사업 준비가 이루어지는 해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시기가 될 전망이다. 다만, 분담금 문제, 이주 대책, 교통 인프라 개선 등 여러 과제들이 산적해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수도권 주택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각 지역의 특성과 개발 계획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 접근이 요구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댓글